오늘의 취준/오늘의 인턴

리눅스 이것저것 공부

gogoem 2022. 12. 7. 14:17
728x90

CentOS 설치 및 설정

vi 에디터

-       dd : 한 줄 잘라내기

-       yy : 한 줄 복사

-       x : 글자 하나 삭제

-       r : 글자 하나 바꾸기

-       p : 붙여넣기

-       i : 커서가 현재 위치한 부분부터 입력 모드로 변경

-       a : 커서 바로 다음 부분부터 입력 모드로 변경

-       o : 현재 줄 다음 위치부터 입력 모드

-       dw : 커서가 위치한 곳의 단어 하나 삭제

-       u : ctrl + z

-       k : 위로

-       j : 아래로

-       l : 오른쪽

-       h : 왼쪽

-       0 : 커서 줄의 맨 앞으로 이동

-       $ : 커서 줄의 맨 뒤로 이동

-       ( : 현재 문장의 처음

-       ) : 현재 문장의 끝

-       { : 현재 문단의 처음

-       } : 현재 문단의 끝

-       숫자 - : 숫자만큼 윗줄로 이동

-       숫자 + : 숫자만큼 아랫줄로 이동

-       G : 파일의 끝으로 이동

-       cc : 커서 줄의 내용 변경

-       :f + [파일명] : 파일 이름을 변경

-       :숫자 : 해당 라인으로 커서 이동

-       :e! : 마지막 저장 이후 모든 편집 취소

-       Set nu

-       Set nonu

 

 

CD/DVD 마운트

-       dvd 장치 : /dev/cdrom

-       연결 : mount  /dev/cdrom  /마운트할폴더

-       연결해제 : umount  /dev/cdrom

-        

기본 명령어 (cd, ls, cp )

RPM 사용법

-       파일 name의 의미 : x86_64(64비트 CPU), i386~686(32비트 CPU), src(소스), noarch(모든 CPU)

-       설치 옵션

U : 피키지 설치/업그레이드

v : 설치과정 확인

h : 설치진행과정을 # 마크로 화면에 출력

-       삭제 : rpm -e 패키지 이름

-       질의

rpm -qa 패키지이름 : 패키지 설치 확인

rpm -qf 파일의절대경로 : 파일이 어느 패키지에 포함됐는지 확인

-       rpm -qlp 패키지파일이름.rpm : 패키지 파일에 어떤 파일들이 포함되었는지 확인

-       rpm -qip 패키지파일이름.rpm : 패키지 파일의 상세정보

-        

YUM 사용법

-       Yum -y install 패키지이름

-       RPM 파일 설치 : Yum localinstall rpm파일이름.rpm

-       업데이트 가능 목록 보기 : yum check-update

-       업데이트 : yum  update 패키지이름

-       삭제 : yum remove 패키지이름

-       정보 확인 : yum info 패키지이름

-       패키지 그룹 설치 : yum groupinstall “패키지그룹이름

-       패키지 리스트 확인 : yum list 패키지이름

-       특정 파일이 속한 패키지 이름 확인 : yum provides 파일이름

-       GPG 키 검사 생략 : yum install –nogpgcheck rpm파일이름.rpm

-      기존 저장소 목록 지우기 : yum clean all

 

CRON 사용법

-       관련 파일 : /etc/crontab

-       관련 데몬 : crond

-       분 시 일 월 요일 사용자 명령

-       파일 편집 > 실행파일 생성 등 > systemctl restart crond

 

네트워크 관련 개념

-       TCP/IP : 가장 널리 사용되는 프로토콜

-       호스트 이름 : 각 컴퓨터에 지정된 이름

-       IP주소 : pc의 랜카드에 부여되는 중복되지 않는 유일한 주소.

-       네트워크 주소 : 같은 네트워크에 속해 있는 공통된 주소

-       브로드캐스트 주소 : 내부 네트워크의 모든 컴퓨터가 듣게 되는 주소. 현재 주소의 제일 끝자리를 255로 바꾼 주소.

-       게이트웨이/라우터 : 네트워크 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컴퓨터 또는 장비

-       넷마스크/클래스 : 넷마스크는 네트워크의 규모를 결정

-       DNS서버 주소 : URL을 해당 컴퓨터의 IP주소로 변환해 주는 서버. /etc/resolv.conf

 

네트워크 관련 명령어

-       nmtui : 네트워크와 관련된 대부분의 작업을 수행하는 명령어. 텍스트 기반으로 작동함.

자동 ip 주소 또는 고정 ip주소 사용 결정

ip주소, 서브넷마스크, 게이트웨이 정보 입력

DNS 정보 입력

네트워크 카드 드라이버 설정

네트워크 장치 설정

-       systemctl <start/stop/restart/status> network : 네트워크의 설정을 변경한 후, 해당 내용을 시스템에 적용시키는 명령어

-       systemctl restart network : 네트워크 재시작. 설정파일 바꾼 다음 꼭 실행해줘야 변경사항이 적용됨.

-       ifup/ifdown : 네트워크 장치를 on 또는 off 시키는 명령어

-       ifconfig 장치이름 : 장치의 IP주소 설정 정보 출력

-       nslookup : DNS 서버의 작동을 테스트

-       ping

 

기본 제공 DNS 서버 : 168.126.63.1

 

네트워크 설정 관련 파일

-       /etc/sysconfig/network : 네트워크의 기본적인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파일

-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32 : ens32 장치에 설정된 네트워크 정보가 모두 들어있는 파일

BOOTPROTO : none – 고정 IP 사용

IPADDR : 사용할 IP 주소

GATEWAY : 게이트웨이 주소

DNS : DNS서버 주소

ONBOOT : “yes”-네트워크 사용 “no”-네트워크 사용 안함

-       /etc/resolv.conf : DNS서버의 정보 및 호스트 이름이 들어 있는 파일

-       /etc/hosts : 현 컴퓨터의 호스트 이름 및 FQDN이 들어있는 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