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취준/오늘의 공부

[JAVA/SpringBoot/Intellij] 오늘 학습 정리

gogoem 2023. 5. 26. 21:56
728x90
  • 어노테이션
  1. @RestController : API가 해당 어노테이션 하위 메소드로 진입할 수 있는 지점을 만들어 줌.
  2. @GetMapping : API 명세의 GET을 수행할 수 있게 해줌.
  3. @RequestParam : 쿼리를 통해 온 변수를 함수 파라미터에 넣을 때 사용.
  4. @RestController : 객체가 있을 때 getter 이 있으면 Spring이 Json으로 바꿔서 HTTP에 응답을 준다.
  5. @RequestBody : POST API의 경우 HTTP안의 JSON을 파싱해서 DTO객체로 만들 때 객체 앞에 적어줘야 함.

 

  • GET은 쿼리로 데이터를 받고 POST는 HTTP Body를 이용함.

 

  • 필드

         클래스를 구성하는 클래스 내부 멤버 중 하나. 객체의 각종 데이터가 저장됨.

         변수와 비슷하게 선언되지만 생성자와 메소드가 종료되면 삭제되는 변수와 다르게

         생성자와 메소드 전체에서 사용되며 객체의 소멸 전까지 존재함.

 

  • 생성자(constructor)

        객체 생성 시 초기화를 해 주는 역할을 한다. 반환 타입 없음.

 

  • getter 

        외부에서 객체 데이터를 읽을 때 객체 무결성을 보존하기 위해 사용하는 메소드.

        클래스 선언 시 필드를 private으로 선언하는 게 좋음.

 

  • setter

        외부에서 객체 데이터를 접근해 변경할 때 객체 무결성을 보존하기 위해 사용하는 메소드.

 

  • 단축키
    • 필요 없는 import 문 제거 : Ctrl + Alt + o
    • 키보드로 단어 잡기 : Ctrl + w
    • 패키지/Class 등 추가 : 원하는 폴더 잡고 Alt + Insert
    • getter/setter 등 추가 : 원하는 파일 내부에서 Alt + Insert
    • 메소드 Import : Ctrl + Alt + o
    • 오버라이드 : Ctrl + o
    • 함수체 순서 조절 : Ctrl + Shift + ↑

 

 

  • DTO(Data Transfer Object)

        변수 대신 정보를 전달하는 객체. DTO를 매개변수로 쓰면 @RequestParam을 쓰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코드가 간결해짐

 

  • JSON

          HTTP Body를 이용해 POST 할 경우 사용하는 데이터 형.

          {

               "name": "고은미",

                    key값       value값

               "age": 24

          }

          의 구조로 되어 있음. 중괄호 포함 내부를 HTTP 요청 Body 라고 함.

          속성은 쉼표로 구분하며, value 값에는 list 또는 다른 JSON 등 여러 데이터 타입이 올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