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취준/오늘의 인턴

[VMware] 2022.09.20 가상머신 네트워크 설정 정리

gogoem 2022. 10. 27. 11:32
728x90

[가상머신에 네트워크 설정하는법]

필요한 것 : ip주소, 넷마스크, 게이트웨이 주소, DNS주소

기본 환경: VMware Workstation 16 Player, windows 10 server, CentOS 7 64-bit

 

windows 10 서버 네트워크 설정하는 법

[제어판] >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연결: Ethernet] > [속성] > [이 연결에 다음 항목 사용 목록 - Internet Protocol Version 4 (TCP/IPv4)] 선택 > [속성]

 

 

준비한 항목을 입력한다~

그리고 확인 누르면 끝!

 

 

 

 

 

CentOS 네트워크 설정하는 법

화면 오른쪽 위 모니터 모양 버튼 클릭 > [네트워크 설정]

하단의 [프로파일 추가] > [IPv4 탭]

드롭박스에서 [수동] 선택 > 준비한 IP주소, 넷마스크 주소, 게이트웨이, 네임서버 입력해주면 됨!

사수님이 라우팅주소는 입력할 필요 없다고 하셔서 그냥 놔뒀음.

그리고 IPv6는 사용하지 않아서 해당 탭 들어가서 꺼줬음!

그럼 끝~

 

나는 centOS 설정할때 네트워크 켜짐 버튼을 아무리 눌러도 자꾸 혼자 곧바로 꺼지기도 하고,

서버를 껐다 켤 때마다 자동 세팅된 이더넷이 새로 생겨서 내가 설정한 이더넷에 연결이 자꾸 끊기기도 했는데

사수님도 이런 현상은 처음 보신다하시고 구글링해도 나 같은 사람은 없었던 것 같다.

그래서 그냥.. 계속 이더넷 삭제하고 다시 연결하고 삭제하고 연결하고 노가다 했더니 결국 성공했다..

인디언 기우제마냥 그냥 될 때까지 시도하기...!!

 

 

 

 

 

 

 

네트워크 설정은 아니긴 하지만 CentOS는 putty로 연결해서 업무하신다고 해서

가상머신 CentOS랑 로컬 PC putty랑도 연결해봤다.

근데 사실 가상머신을 켜놔야 putty랑 연결이 되기 때문에 실용성에서 따지자면

굳이 putty로 연결하지 않고 그냥 가상머신에서 cmd 켜서 하는게 더 나을지두....ㅎㅎ

난 연습해야해서 항상 putty 연결해서 했다.

 

[putty에서 ip 주소로 centos 가상머신 연결!!]

일단 putty 설치, 실행하기

가상머신도 켜놓기

위에 Host Name에 연결할 서버 IP주소 넣고 Open 해 주면 아마 연결이 안될거임.

되면 ㄱㅇㄷ이지만 난 안됐지롱...

 

왼쪽 상단 [프로그램] > [잡다](번역이 이상함.. 그냥 리스트 맨 아래 항목 선택) > [방화벽]

 

사실 한 달 전 일이라 잘 기억은 안 나는데,

방화벽 들어가서 그냥 관련되어 있는건 모조리 체크하거나 추가해주거나 했던 것 같다..

네트워크 설정에 너무 지쳐서 그랬을지두ㅎㅎ

 

 

구글링해보니 나 처럼 원격접속을 할때는 22번 포트를 사용하는 ssh만 허용해주면 된다고 한다.

[서비스]탭 > 서비스 목록에서 [ssh] 선택 > 22번 포트가 들어가있는지 확인하기

근데 내 기억으론 쟤는 그냥 원래 있던 애 같은데......

 

난 [영역] > [public] > [서비스] 에서 ssh도 체크해줬었다.

 

그리고 다시 putty연결하면 무슨 경고창같은게 뜬다.

캡쳐본은 없지만 영어로 연결을 유지한다 무슨 연결 키를 저장한다 이런 문구가 적혀있는데

동의하면 해당 IP로의 접속에 대한 키가 남는다.

 

검색해보니 윈도우의 경우 ssh host key가 저장된다고 한다.

그래서 나중에 해당 IP를 다른 가상머신에 적용해 putty로 접속하려고 시도하면 안된다.

같은 ip주소를 사용하더라도 기기가 달라서 접속을 하지 못하게 하는 것 같다.

그럴땐 C:\user\[계정id]\.ssh 폴더를 삭제하고 다시 연결하면 됨.

.ssh 가 안보인다면 파일 탐색기 창의 [보기]탭 > [표시/숨기기] 에서 숨긴 항목에 체크를 해주면 보인다!

사실 리눅스에서 .으로 시작하는 디렉토리는 숨겨진거라고 알고 있는데 윈도우는 어떤지 모르겠네

여기서 파일 확장명도 체크해주면 평소에 확장명 변경할때 편하게 할 수 있어서 좋다.